쇄도효과(2)
-
블록체인 - 3. 불변 원장 (Immutable Ledger)
기존의 원장 원장 1. 자산이나 부채, 자본의 상태를 표시하는 모든 계정계좌를 설정하여 분개장에서 분개한 거래를 전부 기록하는 장부. - 표준국어대사전 늘 그러하듯 생소한 용어에서 오는 혼란이 직관적 이해를 방해하곤 한다. 불변 원장도 마찬가지다. 불변은 이해하겠는데 원장이라는 게 당최 무엇인가. 이에, 불변 원장에 대해 이야기하기 전에 앞서 원장에 대한 설명을 간략히 하고 넘어가고자 한다. 과거에는 부동산을 누가 소유하고 있고, 누군에게 판매하고 양도하였는지를 종이에 모두 적어 기록하고 보관하였다고 한다. 이 종이를 원장이라고 한다. 종이에 기록하고 보관했다는 이야기에서 알 수 있듯이, 이러한 원장에는 여러 단점들이 존재한다. 누군가가 원장이 보관된 곳에 침입해서 임의로 내용을 수정한다거나, 원장을 관..
2024.01.23 -
블록체인 - 2. 해시 함수 (Hash Function), SHA256
이 글은 블록체인에서의 해시 함수/해시 값의 역할에 대해 기술한 글이기에, 해시에 대한 모든 내용에 대해 설명하지 않고 필요한 내용만 추려 작성하였다. 해시 함수 해시 함수(Hash Function)는 어떤 데이터가 입력으로 주어지면 이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변환(매핑) 시켜주는 함수다. 가령 위의 그림 1에서는 입력 값의 길이와 무관하게, 항상 일정한 길이(16진수 7자리)의 출력으로 바꾸어 출력하고 있다. 이렇게 해시 함수를 적용하는 과정을 해싱(Hashing)이라 하고, 해싱 후에 나온 출력값 해시 값, 해시 코드, 해시 체크섬, 그냥 해시 등으로 부른다. 블록체인에서 해시 값은 블록의 지문과도 같은 역할을 한다. 데이터에 아주 작은 변화라도 생길 경우 해시값은 급격히 달라지며, 해당 블록 뒤에..
2024.01.23